강릉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도시입니다. 그 중심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향교이자 조선시대 성현과 선현들의 위패를 지금까지도 모시는 유일무이한 교육 기관, 강릉향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문화유산을 넘어, 살아있는 역사 교육의 산실로 그 가치를 더하고 있는 강릉향교를 소개합니다.
역사 속 강릉향교의 발자취
강릉향교의 정확한 창건 시기는 문헌상으로 명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고려 말기에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지방 중등 교육 및 지역민 교화를 위해 세워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오랜 세월 속에서 소실과 중건을 반복하며 그 명맥을 이어왔습니다.
특히 1313년 강원도 안무 사인 김승인에 의해 화부산 아래에 설립되었고, 1411년 다시 소실되자 강릉 대도판관 이맹상이 지역 유지들과 뜻을 모아 1413년에 대대적인 중건을 이뤘습니다. 이처럼 강릉향교는 지역 사회의 노력과 함께 역사의 풍파를 견뎌내며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보물로 지정된 아름다운 건축물들
강릉향교는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주요 건물들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강릉향교 대성전, 강릉향교 명륜당, 강릉향교 동무, 서무, 전랑 등은 아름다운 전통 건축미를 자랑하며, 방문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건물은 단연 명륜당입니다. 1413년 '남루'라는 누각으로 처음 세워진 명륜당은 여러 차례의 중수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특히 1644년 대대적인 중수 이후부터 교육 공간인 명륜당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정면 11칸, 측면 2칸 규모로 우리나라 향교의 명륜당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그 웅장함과 아름다움은 방문객들의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합니다.
현재의 강릉향교: 전통과 현대의 조화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 노비, 서적 등을 지원받아 유교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톡톡히 해냈던 강릉향교. 비록 현대에는 과거와 같은 교육적 기능은 사라졌지만, 그 전통과 정신은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강릉향교에서는 매년 봄, 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성현들의 가르침을 기리고,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는 분향을 하며 그 뜻을 되새깁니다.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 명이 강릉향교의 운영을 책임지며, 유구한 역사를 가진 이 귀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강릉을 방문하신다면,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살아있는 역사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강릉향교에 꼭 방문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고즈넉한 한옥 건물들 사이를 거닐며 선조들의 지혜와 정신을 만나고, 우리나라 교육의 뿌리를 직접 체험하는 특별한 시간을 가져보세요.